

1. 출력문 콘솔창에 출력하기 (F12 개발자 도그 → console) console.log('콘솔창에 출력하기') 팝업창에 출력하기 alert('팝업창을 통해 출력하기') 2. 입력문 확인 질문 : confirm 확인 or 취소로 대답할 수 있음, 리턴 타입은 boolean 위 질문에 대한 대답을 console창에 출력 console.log(confirm('저녁 드셨나요?')) 입력 확인문 : prompt 리턴 타입이 무조건 String 질문에 대한 대답을 console창에 출력 console.log(prompt('저녁 메뉴는 무엇이었나요?'))


우선, Javascript란 무엇일까?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, 프로그래밍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고안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. Javascript 는 → Java와의 문법이 다르다. 특징이 있다면... 자바스크립트는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한다. 는 점. Javascript 사용법 스크리트 문법은 태그 가장 하단 ⇒ 괄호 접근방법(호출방법) 배열 [] 인덱스번호 객체 {} .key 함수 () 함수이름() JS를 쓰는 방법은 3가지가 있는데, 결국엔 외부로 많이 쓰게 되었던 것 같다. 내부방식 ⇒ body태그 내 코드 작성 인라인방식 ⇒ 태그 안에다가 작성 외부방식⇒ 연결 ⇒ 외부 js 작성

package com.gigi.disproject; // 객체추적 (Opencv) import static android.Manifest.permission.CAMERA; import android.annotation.TargetApi; import android.app.Activity; import android.app.AlertDialog; import android.content.DialogInterface; import android.content.pm.ActivityInfo; import android.content.pm.PackageManager; import android.os.Build; import android.os.Bundle; import android.util.Log; import..

1. mysql -u root -p 2. use test; db 설치 : sudo apt-get install mariadb-server 접속 : sudo mysql -u root 접근권한설정 : alter user 'root'@'localhost' identified by '비밀번호'; 재접속 : mysql -u root -p db 생성 : create database test; db 사용 : use test; table생성 create table sensordb(sensing INT, ts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); insert : insert into sensordb(sensing) values (1023); select : select * from sens..


02-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(RDBMS) RDBMS(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) 서로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저장 및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간단하게 나타내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테이블을 포함 각 테이블 (객체) 의 모든 행(레코드)은 키(Key)라는 고유 ID를 포함 테이블의 열(Column)에는 데이터의 속성이 들어 있음 각 행은 고유ID(key)로 데이터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음 RDBMS 종류는 Oracle, MS-SQL, MySQL, MariaDB, PostgreSQL, DB2등이 있음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요구분석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구현 요..


01-1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• 분석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원본 • 분석되지 않은, 조직화 되지 않은, 관련이 없는 중단 없는 자료 • 의미 없는 실체이므로 아무 것도 해석하지 않음 정보 • 자료를 지각 할 수 있음 •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특별한 방식으로 해석 • 자료 간에 의미가 있고 관련성이 있음 01-2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01-3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 방식의 문제 DBMS를 통한 데이터 관리 데이터 중복 하나의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를 관리하므로 데이터 중복을 피할 수 있음 응용프로그램이 개별 데이터를 직접관리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하나의 DBMS를 통해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음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각각 다름 하나..